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1744B55607D152D)
늘 옆길을 다니면서도 눈길 한 번 주지 않았던 곳이다. 얼마 전부터 '오 부자(五富者)' 묘소를 지나치면서 묘소를 올라가는 낮은 길에 화강암 계단이 만들어진 것을 보고 후손들이 만들었거니 했다.
20년 전에 이곳에 처음 왔을 때 5 부자 묘소라고 해서 오 부자(五父子)를 아버지와 다섯 아들을 생각했었다. 아들들의 효심이 대단하여 그렇게 소문이 난 게로구나 생각했는데 그 '오부자'는 다섯 명의 재산이 많은 부자를 지칭하는 것이었다니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0B464B55607D1609)
국민학교 다닐 때 교과서에 나왔던 달밤에 서로의 논에 볏단을 나르던 동화가 실제 경산에서 일어났던 일이라니~ 혹시 수성구청에서 소설 쓴 것은 아니겠지? 누구 말이 맞는 거야?
![](http://image.fnnews.com/images2011/images2012/realnews_bg.gif)
전래동화 주인공 마을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579B24F556155F11C)
수확한 벼를 조금이라도 더 많이 가져가게 하기 위해 한밤중에 형제들이 볏단을 날랐다는 ‘의좋은 형제’ 이야기는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나온다.
전래동화처럼 배웠던 이 이야기는 삼베길쌈마을 옆에 위치한 예산군 대흥면에서 고려시대에 실제 일어났던 이성만-성순 형제들의 이야기를 꾸며 놓은 것이다.
대흥면사무소 앞에 조성된 의좋은 형제 공원에는 볏단을 나르는 형제를 형상화한 ‘의좋은 형제상’이 자리잡고 있고 그 옆에는 형제들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1497년(조선 연산군 3년)에 세웠다는 효제비도 볼 수 있다.
동상 둘레에는 의좋은 형제 이야기가 수록된 초등학교 교과서가 전시되어 있어 어릴 적 아련한 추억을 자아내게 한다.
공원 옆에는 조선시대 대흥군을 관할했던 동헌이 수령 218년된 느티나무의 위용아래 단아한 자태를 뽐내고 있어 동헌입구에는 임성아문이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한다.
인근에는 백제 부흥운동의 근거지였던 임존성과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예당저수지가 펼쳐진다. <저작권자ⓒ대전일보사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>
![](http://image.fnnews.com/images2011/images2012/realnews_bg.gi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057C4B55607D1B0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6640C4B55607D19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240BE4B55607D1839)
오부자 산소인데 그들의 후손까지 더해지니 12기 이상의 묘가 조성되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05774B55607D140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557EA4F55607D011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23924F55607D043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55E674955607D053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73614955607D062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65464955607D082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211C4955607D0A07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5C074955607D0931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0C504955607D0C1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63764B55607D0D1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57B84B55607D0F2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05404B55607D110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257A84F55607D0315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28F74F55607D002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669B74F55607CFF09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4E244F55607D031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23AD4475561ACE62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5D46475561ACE70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4D9B475561ACE81A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4183475561ACE922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3F74475561ACEA24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4D19475561ACEB1A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4B7B475561ACEB1B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5D01475561ACEC0F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2489475561ACED36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4904475561ACEF1D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490E475561ACF01D)
작은 물길 낸 곳에 큰 멧돼지 발자국이 찍혔다. 제법 덩치가 있는 놈으로 보이는데 야간에는 조심해야겠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484B475561ACF01E)
위쪽으로 멧돼지들이 다닌 길이 보인다. 짐승이 다니는 길을 앉아서 보면 마치 나무 터널처럼 보인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33E3475561ACF12B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563F4D5561ACF213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461D4D5561ACF3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45084D5561ACF4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4EEB4D5561ACF518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457C4D5561ACF7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332994D5561ACF82C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25A8B4D5561ACF91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17F0D495561ACFB1E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77F1E495561ACFE20)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blog/2419D9495561ACFD0C)
욱수지에 도착하여 저수지를 바라보노라니 저수지 중간으로 엄청나게 큰 물고기 2마리가 앞뒤로 나란히 지나간다. 얼핏 1m가량 되는 잉어나 배스로 추정된다. 사진 중앙에서 가로 1/3 지점의 검은 실루엣이 그것이다.